https://youtube.com/live/zzEiieag7Os
[2편] LS산전PLC(XEM-DN32H2)와 ST언어로 제어 시작해보기!(녹칸다의 내맘대로 PLC 시리즈)
녹칸다의 내맘대로 PLC시리즈이다!
이번 시리즈는 아래 구글 슬라이드에 설명자료를 작성하도록 한다!(모두에게 공유되어있음)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c5YLf60WR_41MiQoi98iuQQTgTxfjQfBKBZt6dUz8R0/edit#slide=id.g246208ea6f6_0_0
녹칸다는 아두이노 코딩하는 유튜버이다!
이번 시리즈는 아래와 같은 주의사항이 있다!
1.녹칸다는 PLC에 대해서 잘 모름(가장 중요)
2.아두이노로 코딩하던 사람이 PLC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입문자용 자료를 만듦!
3.그러므로 PLC를 정석으로 하고자 하는 의도는 전혀 없음!
4.녹칸다가 가진 PLC CPU는 레더로직(LD)과 ST언어 2가지로 제어가 가능함!
5.레더로직은 전혀 이해가 안되어서 몇가지 샘플만 구동해보는 것으로 마무리 함!(대충 이렇게 하는구나~ 정도 수준)
6.ST언어는 약간 이해가 되므로 아두이노 코딩하는 전략을 기반으로 해서 다양한 예제를 만들어 보도록 함!
7.그러나 녹칸다가 ST언어로 코딩할 내용이 “실제로 이렇게 해도 되는건가?” 는 보장하지 못함, “결론적으로 작동이 됨”에 초점을 맞추도록 함!
8.진행중 잘못된 설명이 있으면 녹칸다에게 알려주면 감사!
이번편은 1편에서 설정해놓은 개발환경을 바탕으로 레더로직이 아닌 ST언어로 접근해보도록 한다!
그리고 앞으로 구현하는 예시는 모두 ST언어로 구현하도록 한다!
1편에서는 XBM-DN32H2라는 제품을 사용했지만 이 제품은 ST언어로 코딩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번에는 XEM-DN32H2라는 제품을 활용해보도록 한다!
(XEM-DN32H2는 둘다 가능하므로 XEM-DN32H2를 애초에 준비하는게 더 좋을 듯 하다)
그러나 두 제품간의 장단점은 녹칸다도 알 수 없으므로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아두이노든 C#이든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근할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PLC에서 메모리가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어떻게 어드레싱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ST언어의 기본적인 구성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1편에서 구현했던 몇가지 쉬운 예제를 ST언어로 구현해보도록 한다!
(라이브방송에서 구현한 프로젝트)